Part7 - 중국 지리

중국사가 어렵게 다가왔던 이유를 꼽자면 대륙의 지형에 대한 무지 때문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복잡한 지역명에 있었다. 따라서, 아래와 같이 지리와 지역명을 정리하는 바이며 명칭들에 대한 표기 방식은 '중국 발음(한자, 한자 독음)'으로 병기하겠다.

출처:  https://pixelsmerch.com/featured/china-3d-render-topographic-map-color-frank-ramspott.html

 

중국의 주요 강

{출처: 두피디아}

출처: 네이버 지식백과

<3대 강>

  • 황허(黃河, 황하) = 황허는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며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이다. 또한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긴 강으로, 원수에서 하구까지 5,464km 달리며 황해로 빠져나간다. (엄밀히는 보하이해 - 산동과 요동반도 사이에 있는 바다) 이 과정에서 강은 중국의 9개 성을 통과하게 된다. 황허 유역은 중국 초기 역사에서 번성했던 고대 문명의 요람이다. 그러나 빈번한 홍수와 상승하는 강바닥으로 인해 중국인들은 분지에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.
출처: 두피디아
  • 화이수 or 화이허(淮水, 회수 or 淮河, 회하) = 화이수(회수)는 황허와 창장 사이를 흐르는 길이 1,100km의 중국 3대 강 중 하나이다. 이 회수를 기점으로 중국은 화북과 화남으로 나뉜다. (옛 지명 기준이며, 행정구역 상 화북은 다른 지역) 물길이 복잡하여 홍수가 잦았으며 치수가 매우 어려운 강이였다.
출처: 두피디아
  • 창장(長江, 장강) = 양쯔(揚子, 양자) = 양쯔, 다른 이름으로 창장은 중국에서 가장 긴 강이다. 실제로 아시아에서 가장 길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이며 그 길이는 6,300km이다. 또한 양쯔강은 단일 국가에서 흐르는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이며, 방류량으로는 여섯 번째로 큰 강이다. 양쯔강은 중국 육지 면적의 20%를 배수하며 강 유역에는 중국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. 강은 중국 GDP의 20%를 창출하는 중국의 문화, 역사 및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 양쯔강은 416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그중 360종은 민물고기로 아시아에서 가장 어류가 풍부한 강이다. 장강의 아래 지방을 강남이라고 불렀다.
출처: 두피디아

<나머지 강들>

  • 헤이룽장(黑龍江, 흑룡강) = 동양에서는 헤이룽장, 서양에서는 아무르강으로 불리는 흑룡강은 세계에서 10번째로 긴 강이며 강물에 부식질이 많아 검은색을 띤다. 창장과 황허에 이어 중국에서 세 번째로 긴 강이며 중국과 러시아의 국격을 이루는 가장 긴 강이다. 강은 러시아의 Pokrovka 근처 아르군강과 오논-실카강의 합류점에서 시작하여 동쪽과 남동쪽으로 약 2,824km를 흐르고 타타르 해협으로 빠져나간다. 고대에는 흑수(黑水)로 불리기도 했다. ​
출처: 두피디아
  • 랴오허(遼河, 요하) = 요수(遼水)로도 불리는 랴오허는 중국 동북 지역에 위치하며 길이 1,345km의 강이다. 랴오허를 기준으로 요서 요동으로 불린다다. 상류에서 떠내려온 토사로 인해 랴오허의 중하류에는 삼각주와 함께 요택(遼澤)이라는 늪지대가 있으며 한국사와도 관련이 많다.
출처: 두피디아
  • 주장(珠江, 주강) = 중국 남부에 위치하며 길이 2,200km로 중국에서 세 번째로 긴 강이다. 여러 개의 지류를 갖고 있으며 하류에는 주강 삼각주를 형성해 홍콩과 마카오 사이를 지나 남중국해로 빠져나간다. ​
출처: 두피디아

 

중국의 산맥

 
출처:&nbsp; https://modoosocial.com

중국의 지역 명칭

{출처: Worldatlas}

 
출처: &nbsp; https://m.blog.naver.com/ghcho97/221527163068

<동북>

랴오닝(遼寧, 요녕)성: 요하(遼河) 유역이 영원히 안녕(安寧)을 유지하라는 뜻이며, 요하의 서쪽과 동쪽을 각각 요서 & 요동으로 부른다. (요동과 요서는 산지와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고, 요하 유역은 평야이다.)

지린(吉林, 길림)성: 만주어로 강변이라는 뜻의 기린 울라(Girin Ula)에서 가져온 이름 --> 기린울라 =길림오랍(吉林烏拉)

헤이룽장(黑龍江, 흑룡강)성: 흑룡강의 이름에서 유래

출처: 두피디아

<화북>

네이멍구자치구(內蒙古, 내몽골) : 막남몽고(漠南蒙古)에서 유래

허베이(河北, 하북)성: 황허의 북쪽

산시(山西, 산서)성: 태행산(타이항산)의 서쪽

중원은 예부터 하북, 하남, 산서, 산동, 섬서지역을 일컫는다

<화동>

산둥(山西, 산동)성: 태행산의 동쪽

장쑤(江蘇, 강소)성 : 강녕(江寧), 소주(蘇州)에서 한 글자씩 따옴

안후이(安徽, 안휘)성: 안경(安慶), 휘주(徽州)에서 한 글자씩 따옴

저장(浙江, 절강)성: 전당강(錢塘江)의 다른 이름인 절강(浙江)에서 유래

장시(江西, 강서)성: 강남(江南, 양쯔의 남쪽)의 서쪽 

푸젠(福建, 복건)성: 당나라 초기에 건주 & 당 현종 때 복주로 부르던 것에서 복주(福州), 건주(建州) 한 글자씩을 따옴

<화중>

허난(河南, 하남)성: 황허의 남쪽

후베이(湖北, 호북)성: 양쯔의 동정호(洞庭湖)의 북쪽

후난(湖南, 호남)성: 양쯔의 동정호(洞庭湖)의 남쪽

<화남>

광둥(廣東, 광동)성: 삼국시대에 교주(交州)를 갈라 광주(廣州)를 설치하였고, 송나라 때에 이를 다시 광남서로(廣南西路)와 광남동로(廣南東路)로 분할하였는데 광남동로를 축약하여 광동로(廣東路)라 한 것에서 유래

광시(廣西, 광서)성: 광남서로(廣南西路)에서 유래

하이난(海南, 해남)성: 해남도(海南島)에서 유래

화중과 화남을 합쳐서 중남 지역이라고도 함

<서북>

산시(陝西, 섬서)성: 섬원(陝原)의 서쪽 (섬원은 하남성의 섬현지역인데 이 지역의 서쪽을 의미)

간쑤(甘肅, 감숙)성 : 당나라 시기 감주(甘州), 숙주(肅州)에서 한 글자씩을 따옴

칭하이(靑海, 청해)성 : 청해호(靑海湖)에서 유래 (칭하이성 동쪽의 최대 소금 호수)

신장웨이우얼자치구(新疆, 신강) : 청나라 때 통일한 지역으로 신벽강토(新壁疆土, 새로 영토를 개척하다)라는 의미

<서남>

쓰촨(四川, 사천)성 : 쓰촨의 천(川)은 땅이라는 뜻이다. 진나라 때 파군과 촉군으로 나뉘어 양천이 되었고 당나라 때 검남동도, 검남서도, 산남서도로 나뉘어 삼천이 되었으며, 송나라 때 익주 재주, 이주, 기주로 나뉘면서 사천이 되었다. 송대의 행정구역인 천협사로(川陝四路)의 줄임말을 사천이라 하였고 원나라 때 사천성이 되었다.

구이저우(貴州, 귀주)성 : 구이저우(貴州)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(貴州)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(矩州)이다. 원나라 대에 '矩(곱자 구)'와 발음이 유사하면서도 뜻은 더 좋은 '貴(귀할 귀)'로 표기를 바꾸었다.

윈난(雲南, 운남)성 : 운령(雲嶺)의 남쪽이라는 의미 (운령 산맥은 중국 서남부의 산맥임)

시짱자치구(西藏, 서장) : 청나라 때 정식으로 명명되었으며, 이전에는 토번(吐蕃)으로 불렸음

출처: Worldatlas

 

본 글은 네이버 블로그에서 발행했던 글입니다. https://m.blog.naver.com/gb145/223101653354

'역사 > 부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art9 - 인도 & 파키스탄 지리  (1) 2024.01.09
Part8 - 4.2ka 이벤트  (1) 2024.01.09
Part6 - 유럽 주요 산맥과 강  (1) 2024.01.09
Part5 - 8.2ka 이벤트  (1) 2024.01.09
Part4 - 서남아시아의 사막 기후  (0) 2024.01.09